Insight Hub.

💡2025 건강보험료율 |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


🏥 매달 급여에서 빠져나가는 건강보험료, 정확히 어떻게 계산되는지 아시나요?
📌 2025년 건강보험료율과 함께 계산 방법을 알아두면 가계 지출을 더 똑똑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건강보험료 계산기👆🏻

💡2025 건강보험료율

직장가입자: 보수월액 × 7.09%
→ 근로자와 사용자가 절반씩 부담 (각 3.545%)

지역가입자: 소득·재산·자동차 등을 종합 점수화하여 산정
→ 보험료율 7.09% 적용

장기요양보험료: 건강보험료 × 12.81% 별도 부과

※ 2025년 건강보험료율은 전년 대비 소폭 인상된 수치로,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매년 변동됩니다.



💡직장가입자 보험료 계산 방법

보수월액 확인: 기본급 + 각종 수당 (비과세 제외)
건강보험료 = 보수월액 × 7.09%
근로자 부담 = 건강보험료의 50%
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× 12.81%

📍 예시: 월급 400만 원 근로자
→ 건강보험료 = 400만 × 7.09% = 283,600원
→ 근로자 부담 = 141,800원 / 회사 부담 = 141,800원
→ 장기요양보험료 = 283,600 × 12.81% ≈ 36,300원
→ 총 근로자 부담액 = 141,800 + 36,300 = 178,100원


💡지역가입자 보험료 계산 방법

📌 소득·재산·자동차를 점수화한 뒤, 점수 합계 × 점수당 금액(2025년 기준 220.4원)
소득: 사업·이자·배당·연금·근로소득 등 반영
재산: 토지·건물·전세보증금 등
자동차: 배기량·가액 기준에 따라 점수화
→ 산출된 점수 합계 × 점수당 금액 × 보험료율(7.09%)

📍 예시: 소득·재산·자동차 점수 합계 2,000점
→ 2,000 × 220.4원 = 440,800원
→ 건강보험료 = 440,800 × 7.09% = 31,200원


💡유용한 팁

- 📱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미리보기 서비스 활용 시 본인 예상 보험료 확인 가능
- 💳 카드 자동이체 시 납부 편리 + 일부 카드사 할인 혜택
- 🏠 지역가입자는 전세보증금·재산세 과세표준이 반영되므로, 재산 변동 시 보험료가 달라짐
- 👨‍👩‍👧‍👦 피부양자 등록(소득 없는 배우자·부모·자녀)은 별도 보험료 부과 없음



💡체크리스트

- 직장인: 급여명세서에서 보수월액 확인
- 지역가입자: 소득·재산·자동차 변동 시 보험료 재산정
- 장기요양보험료 별도 부과 확인
- 매년 변동되는 보험료율 반드시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