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sight Hub.

💡사업자등록번호 조회방법 


거래 전 사업자등록번호를 확인하면 휴·폐업 여부와 기본 정보를 미리 점검할 수 있어요.
번호 체계(형식)와 국세청 조회 경로, 사기 예방 체크포인트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
⏰ 서류만 믿지 마세요! 홈택스에서 상태조회로 실제 등록·휴폐업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.

번호조회 바로가기👆🏻


💡번호 체계(형식) 이해

✅ 자릿수: 총 10자리
✅ 표기형식: XXX-XX-XXXXX (예: 123-45-67890)
✅ 종류: 개인·법인 모두 동일한 10자리 체계 사용
✅ 유의: 형식이 맞아도 유효성·상태(영업/휴업/폐업)은 조회로 확인해야 함

※ 사업자등록증 사본만으로는 최신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. 반드시 온라인 상태조회를 병행하세요.


💡조회 방법(국세청 · 기본)

홈택스 접속 → 민원/조회 메뉴에서 사업자등록 상태(휴·폐업) 조회
사업자번호 10자리 입력 → 결과에서 영업/휴업/폐업 상태 확인
✅ 필요 시 상호·대표자명 등 기본 정보 일치 여부 확인(계약·세금계산서 발행 전 권장)
✅ 결과 화면을 캡처/저장해 거래 증빙으로 보관

※ 조회 결과가 ‘폐업’이면 세금계산서 발행·계약 체결에 주의하세요.


💡사기 예방·추가 확인 팁

✅ 온라인 쇼핑몰은 통신판매업 신고 여부를 추가로 확인(사업자번호로 조회)
법인명/상호·입금 계좌 명의가 일치하는지 대조
✅ 세금계산서 발행 시 전자세금계산서 수신 메일·사업자정보 재확인
✅ 이상 징후(급한 입금 요구·현금만 고집 등) 시 거래 중지 후 재확인


🚨 쇼핑몰 거래라면 통신판매업 신고 미신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
통신판매업 조회👆🏻


💡체크리스트

- 사업자번호 10자리(3-2-5 형식) 확인
- 홈택스에서 영업/휴업/폐업 상태 조회
- 상호·대표자·입금 계좌 일치 여부 대조
- 온라인 거래는 통신판매업 신고 추가 조회
- 함께 보면 좋은 글: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절차, 간이·일반과세자 차이, 위장사업자 체크포인트